세온 ENS 엔지니어링 서비스
세온이앤에스 (Seon ENS, 구. 한국엔지니어링파트너스)는 소프트웨어 및 시스템 개발에 있어 풍부한 경험과 깊은 실무 지식을 가진 다양한 전문가들로 구성된 서비스 회사입니다.
안전분석 및 설계
시스템의 기능, 거동, 설계의 고장, 결함 및 그 결과를 식별하기 위한 안전 분석의 컨설팅 및 안전분석 수행 용역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FMEA(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FMEA의 목적
FMEA (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는 시스템이나 하드웨어의 기능이나 설계 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고장 모드(Failure Modes)의 위험도를 평가하고, 원인(Causes)과 영향(Impact)을 분석하여, 고장 모드의 발생 가능성을 낮추거나 회피하는 방안을 정의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험에 의한 안전분석 방법이다. FMEA는 전형적인 귀납적 안전 분석방법이며, ‘Bottom-up’방식으로 진행된다. 또한 고장 모드의 중요성에 따라 정성적이나 정량적으로 분석이 가능하나 주로 정성 분석 위주로 사용된다.
FMEA의 종류
FMEA 수행 절차
FTA(Fault Tree Analysis)
FTA의 목적
FTA (Fault Tree Analysis)는 정량적 분석이나 정성적 분석에 모두 사용될 수 있는 분석 기법으로써, 설계 완료 후 설계된 행위가 명확한 경우에 사용하면 유용하다. 또한 고장이나 재난 요인(Hazard)의 제거 가능성을 과학적으로 제안할 수 있는 방법이며, 다중 고장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복잡한 영향을 분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FTA의 종류
FTA의 구성 요소
FTA의 수행 절차
FTA 수행 절차 – Fault Tree Modelling
FTA 수행 절차 – 정성적 Minimal Cut-Set 분석(Fault Tree 모델 평가 및 분석)
부울 대수법 등을 활용하여 정성적 분석을 수행하고 Minimal Cut-Set을 분석한다. 정량적 평가의 경우 Basic Event의 고장률을 FTA 모델에 따라 연산하여 Top Event의 고장률을 분석한다.
DFA(Dependent Failure Analysis)
DFA의 목적
의존 고장의 잠재적인 원인 또는 의존 고장 유발자의 분석을 통해 설계에서 필요한 독립성(Independence) 또는 간섭이 없는지에 대한 설계의 충분성을 확인하고 대책을 세우기 위한 방법이다.
의존 고장의 종류
공통 원인 고장, 공통 모드 고장, 연계 고장으로 구분된다.
DFA 필요 시점
의존 고장 분석은 1차적인 시스템 설계를 마무리 한 후 안전분석을 통해 단일점 결함 또는 이중점 및 다중점 결함에 대한 원인 분석 및 대책을 수립한 후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아래와 같은 활동이 있을 경우 수행한다. → ASIL 분해 (Decomposition) → 엘리먼트 공존 기준 (Element Coexistence Criteria) → 안전 메커니즘 설계
DFA 수행 절차
의존고장 유발자(DFI : Dependent Failure Initiator)
∙ 의존고장을 일으킬수 있는 원인이 되는 Factor를 의미한다. ∙ 일반적으로 아래 그림의 7가지 형태의 의존고장 유발자 그룹이 존재한다.